2010년 7월 29일 목요일

수학으로 푸는 정치는 감동이 없다.

8곳에서 치뤄진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끝났다.

 

한나라당 5곳, 민주당 3곳의 승리결과를 놓고 여러가지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선거가 치뤄지기전에는 민주당이 5곳, 한나라당 1곳, 자유선진당 1곳, 창조한국당이 1곳을 차지하고 있던 지역이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5곳 승리가 본전이고, 6곳 이상 이겨야 승리라는 얘기다.

3곳 승리라면 참패라 할만하다.

 

선거 이후 민주당의 첫 반응은 "후보 단일화가 늦은게 패착"이라는 얘기가 흘러 나온다.

 

진단을 잘못하면 치료를 제대로 할 수 없다.

 

과연 '후보단일화'가 만병통치약일까?

 

국민들이 왜 민주당을 찍어야하고, 왜 야권단일화가 필요한지 알고있다고 생각하는가?

단지 숫자상으로, 머리수 상으로 당원숫자만 합해도 이기지 않을까하는 수학적 논리로 접근하지는 않았는가 생각해볼 일이다.

 

그런 오류는 노무현 정권말기에도 있었다.

호남을 기본 베이스로 깔고, 수도권 20~40대, 전국의 민주세력과 노사모 인원이면 대선을 승리할 수 있다고, 당당하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어설픈 위치에 있던 사람들이 아니고, 권력 핵심에 있던 전략가라는 사람들의 발언이었다.

 

한번 민주당이면 영원한 민주당 지지층이라는 생각이 숫자상 오류로 빠지는 원인이다.

한나라당 텃밭이라는 강원도에서 민주당이 선전한 이유도 그렇고,

충청남북도에서 철저히 외면 당했던 한나라당이 살아난 이유를 살펴보면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세상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국민들은 여야 가리지 않고 어디든지 잘못하면 사정없이 혼내기도하고, 잘하면 격려하기도 하지만, 예전처럼 영원한 지지는 없다는 것이다.

 

숫자 정치는 예전부터 계속되었지만 결정판은 3당합당이 아닌가 싶다.

헌정사상 첫 여소야대 국회가 시작된 노태우정권 시절은 정치권 모두가 당황하는 시대였다.

그동안 여당의 일사천리 정책 집행과 극단적인 야당의 반대로 진행되던 정국이 아닌 새로운 정치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번번히 국회에 잘못이 잡힌다는 생각에 집권여당(민정당)은 내각제를 고리로 충청권을 기반으로한 신민주공화당(김종필), 부산경남을 기반으로한 통일민주당(김영삼)과 3당 합당하여 거대여당을 출현 시킨다.

일거에 전체 국회의석 299석의 2/3가 넘는 218석을 확보한 거대여당은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었다.

숫자상 엄청난 권력은 오만함을 불러왔고 다음 14대총선에서 149석으로 줄어드는 참패를 맛본다.

그러한 3당합당의 오만함에 '이의 있습니다'하고 반기를 든 노무현의원이 훗날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것도 그 때 뿌려진 씨앗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무모할 정도의 도전정신에 찬사를 보낸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대통령후보로 지명된 바로 다음날 그도 숫자정치를 염두에 두고 YS시계를 차고 상도동을 방문하면서 지지율이 떨어지는 시련을 겪게된다.

 

성공적인 연합이라 불리는 DJP 연합.

충청과 호남의 1+1 결합의 승리로 보지만 이는 1+1=2가 아닌 3, 5의 결과를 이끌어냈기 때문에 대선승리가 가능했던 것이다.

아직 김대중이라는 인물을 불안하게 지켜보던 보수층을 원조보수 인물들이 결합되므로써 안심시키고 지지층으로 끌어들였던 것이다.

 

현재 상황을 조금 비판적으로 말한다면 국민들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분열했다 합친 것도 잘모르고 관심도 없다.

민노당이 진보신당과 분리되고, 다시 합당 노력을 하는 것도 관심 없다.

노무현 정신을 계승한다는 국민참여당의 활동은 알지도 못한다.

 

정치공학적으로 진행되는 정국에서 1+1+1의 단일화로 3 이상의 효과를 내겠다는 것은 도박을 해서 돈을 따겠다는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다.

내가 희망을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남을 비판하는 것으로 반사이익을  얻고자한다면 실패만 거듭될 것이다.

 

최근 한나라당의 전당대회가 좋은 예다.

'모래시계'검사로 개혁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홍준표의원이 본인의 이미지를 살려내지 못하면서 안상수의원에게 패하고 만다.

본인의 희망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선거막판 안상수의원 흠집내기에 전념할 결과다.

조직에서의 패배라는 이야기를 하지만...

정당의 전당대회를 치루다 보면 조직이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그건 기본 조건일 뿐이다.

정당의 대의원 정도되면 정국의 흐름을 어느 정도 꿰뚫고있는 사람들이다.

희망을 제시하면 표는 오게 되어있다.

 

노무현후보도 조직으로 따지면 당시 정권2인자로 까지 불리던 이인제후보에게 상대도 되지않았다.

하지만 그는 희망을 제시했고, 감동의 역전을 이뤄냈다.

 

민주당+민노당+진보신당+창조한국당+국민참여당=5인가?

 

각자의 이념과 정책, 이유에 의해 창당된 정당들이 선거 때 마다 왜 연합하고 연대해야 하는지?

 

차라리 모두 합당하지 왜 선거 때마다 그래?

 

모두 단결해서 심판에 매달릴 정도로 현 정권이 국민들의 미움을 받고 있는가?

 

이러한 국민들의 물음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호남인구 숫자+노동자 숫자+노사모 숫자+진보세력숫자+시민단체숫자=승리를 염두에 둔 결합이 아닌지 반성해 볼일이다.

 

수학으로 푸는 정치는 재미가 없다.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

정치는 숫자의 결합이 아니라 1을 갖고도 10을 만들기도 하고 20을 만들기도 해야된다.

그러기위해서는 야당 스스로 국민들에게 희망을 만들어줘야한다.

 

왜 야당을 찍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해야 한다.

 

정권 심판과 반대는 야당 본연의 임무일 뿐이다.

감동의 정치를 실현하지 않는 이상 야권의 길은 멀고 험할 뿐이다.

 

"The Long and Winding Road"

The wild and windy night
That the rain washed away
Has left a pool of tears
Crying for the day.
Why leave me standing here?
Let me know the way.
거칠고 험한 밤, 비에 씻겨 나가고
눈물만이 그득하니
하루 종일 울음에 젖어
그대, 왜 나를 이곳에 남겨두고 떠났는가.
그대에게 이르는 길, 내가 볼 수 있기를.

댓글 4개:

  1. 일리있는 말씀입니다.

    세상이 변했지요.

    하지만 당을 이동하면서 지지하는 유연성이랄까요...이것에 얼마만큼 변화가 있느냐 하는 것은 의문입니다. 단지 덜 뭉치고 더 뭋친 차이랄수도 있지요.

    이쪽은 안이하여 덜 뭉치고 저족은 위기감에 더 뭉쳤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동기부여지요. 만약, 닥닥 긁어 100% 투표율이 나온다면 저쪽 쪽수가 많을지 이쪽 쪽수가 많을지는 의문입니다.

    동원력, 투표율로 봤을 때 평균적으로 한나라당에 쪽수에서 밀리는 건 사실입니다. 그것이 엄현히 숫자로 나타나는 선거결과지요.

    1+1이 3도 되고 5도 되고, 1도 되고 0도 될 수 있습니다. 야권연대가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요조선이란 얘기지요.

    답글삭제
  2. @어멍 - 2010/08/04 18:04
    맞습니다.

    기본 베이스로서의 연대는 물론 중요합니다.

    거기에 더해서 희망을 만들어내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합니다...^_^

    답글삭제
  3. '수학으로 푸는 정치는 재미가 없다'라는 말이 인상 깊습니다.

    저는 수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지금은 수학과 정치의 다리 역할을 하고자 '수학 정치'를 검색해보니 이 글이 떠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정치는 숫자의 결합이 아니라 1을 갖고도 10을 만들기도 하고 20을 만들기도 해야된다'

    정치와 수학은 근본적인 태생이 다른지라 함께 공존할 수 없는 존재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수학적 입장에서 1을 가지고 10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수십 수백가지 입니다.

    그 방법중에서 최고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정치의 문제도 수학처럼 해결 할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있는데 그 방법중에서 최고의 방법을 못찾기때문에 지금 이 지경까지 오지 않았을까요?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치면 좀 나아질지 모르겠습니다.

    수학과 정치의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 정말 힘들 것 같아 앞으로 제 여정에 많은 무리수가 있지않을까 합니다.

    글 정말 잘 읽고 가요~

    답글삭제
    답글
    1. 정치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가 활발해야 정치가 발전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정치경험을 쌓기 바랍니다. ^^

      삭제